STM32F4의 FPU에 대한 이해를 얻고자 검색질을 좀 해보았다. IAR EWARM 환경에서 F4의 FPU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셋팅에서 FPU 사용 여부에서 VFPv4 항목을 선택 해 주면 된다. but... 기본적인 부동소수점 변수의 사칙 연산에서는 기대하는 수준의 연산이 이루워 지는 듯 하다. 하지만 삼각함수와 같은 컴파일러 제공 연산 함수를 사용시 그 효과가 미비하다고 한다. sin(x) 한번 실행하는데 1us 가 훨씬 넘는다고 하는군. 뻔하다. 아직 라이브러리의 코드가 FPU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이야기. 뭐.. 삼각함수 쓸 일이 딱히 없으.... 아니지... 혹시 알아? ㅋㅋㅋ 실제 삼각함수 연산시간을 IAR Vs KEIL 로 측정해보면 잼있을것 같다. 꼭 한번 해봐야지. 만약 KEIL..
MCU는 TMS320F405RG 로 선택. 예전 직장에서 샘플로 받아 둔 것. 그때만 해도 레어템 득 했다고 으쓱하고 그랬는데 요즘은 구하기 쉬울랑가? ㅎㅎ 마우스 하기에 딱 좋겠다는 느낌이었다. 아주아주 널널한 퍼포먼스를 즐기면서.. FPU가 들어 있어서 스트레스 없이 별짓거리 다 해볼수 있을꺼라는 생각. 컴파일러는 IAR EWARM 6.30.6 을 설치 했다. KEIL MDK-ARM 이 익숙하긴 한데... 신뢰도 더 가고... 주변에서는 IAR 밖에 안쓰네.. 이참에 익숙해 지면 나중에 도움이 될 듯. 아. IAR EWARM 6.4 버젼도 나오긴 했는데... 에디터도 이클립스 기반으로 바뀐듯 하고.. 아직 안정화가 많이 필요하단 소리가 들려서 이번엔 패스.. 6.3 대 마지막 버전을 쓰기로 한다. 에..
마우스 개발에서 손을 뗀지 벌써 4,5년이 지난거 같다. 다시 시작 해 보고 싶다. 사실 엄두가 안나긔... 쥐뿔도 모르고 멋모르고 무모하게 달려들었던 때가 좋았지.. 지난주 단대 대회 참관후 다시 불꽃이... 뭐 매년 이맘때쯤 항상 그렇긴 했었지... 다시 한번 시작해볼까 한다. 하루에 10분 만이라도 관련된 작업을 해 볼란다. 매일 자주 일지도 써 볼란다. 단 한줄이 될 지라도... 이건 나 스스로와의 약속. 1년이 걸릴지... 몇년이 걸릴지는 모르겠다. ㅎㅎ
제어용 MCU 의 새로운 끝판왕이 등장 했습니다. STMicroelectronics 에서 출시한 STM32F4 시리즈 입니다. F1, F2 시리즈의 후속 라인업인데 Cortext-M4 + FPU 형태로 168MHz 210 DMIPS 속도를 낸다고 합니다. 단국대 대회에서 부우형님이 요녀석의 출시 소식을 알려 주셨고, ST 홈페이지에서 스펙을 확인해 보니 제일 처음 떠오르는 생각이, TI DSC 잡아 먹으려고 나왔구나!! 였습니다. ST 에서도 DSC 라는 표현을 쓰고 있더군요. 간단히 대표적인 스펙을 비교 해 보았습니다. 표에 나와있는 STM32F415RG 의 경우 F4 Family 에서 가장 작은 패키지로 LQFP 64 Pin 입니다. 외부 메모리 Interface 와 Ethernet Interface..
첨부파일 참조
- Total
- Today
- Yesterday
- PID
- 개발환경
- 라인 트레이서
- FPU
- H8
- TMS320F28335
- TMS320F28xx
- 경연대회
- V55
- 시립대
- TI
- 라인트레이서
- 장어요리
- PADS2007
- 마이크로 마우스
- printf()
- SDFlash
- 직류 모터
- ZETIN
- 싱크웍스
- 산업대
- 단국대
- 츠쿠바
- HH2
- VC33
- DC Motor
- Koguryo
- CCS
- DSP
- 속도 프로파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