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찌어찌 개발환경 구축을 마무리 하고 LED 점등까지 성공 하였다. TI 에서 제공하는 예제를 컴파일 하여 JTAG 으로 다운로드 한 후 테스트 하였고 소비 전류를 확인해 보니 LED 점등시 319~324mA 전류소모가 있었다.. 생각보다 밥을 너무 많이 먹어서 설정 부분을 확인해 보니 모든 주변장치가 활성화 되어 있음. 사용하는 Timer0 만 살려놓고 다시 확인해 보니 229~235mA 의 전류 소모를 보인다. 다른 28x 계열과 1:1 비교를 해보지는 않았지만 느낌상 더 많은 전력 소모를 보이는것 같다. 심각하게 고려해 봐야 할 문제. 싱크웍스 블로그쪽에 보니 28335 모듈은 176pin 소켓에 방열 쿨러 까지 장착 한다고 하는 듯.. DSP 발열도 만만치 않을 듯 싶다. 생각보다 삽질이 많다. ..
몇몇 학부 후배들이 이제 전시회도 끝나고, 주행로봇을 제대로 시작 해 보겠다고 한다. 뭐부터 시작하면 좋겠냐고 물어보길래 제대로 할라믄 DSP 를 써야 할 것이고 그러기 위해서 DSP 가 무엇인지, 범용 MPU 등과의 차이는 무엇인지, 어떤게 쓸만한지, 무었을 쓸것인지 등등을 정리해 보라고 하였다. 기특하게도 두어명이 나름 공부하여 정리 해 놓은 것들을 보았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참신한 자료는 하나도 없드라... 그네들이 접하고 공부하고 인용하여 정리한 자료는 거의 99%가 싱크워X 라는 회사의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는 자료였다. 나 역시 처음 DSP 를 시작할때 거의 유일하다싶이 자료를 얻을 수 있었던 곳이었고, 유용한 자료가 상당히 많은 곳이긴 하다. 회사의 CEO 로 계신 백 이사님께서 상당히 열성적..
- Total
- Today
- Yesterday
- 싱크웍스
- 개발환경
- 라인 트레이서
- FPU
- 츠쿠바
- TMS320F28335
- 직류 모터
- 산업대
- DC Motor
- 경연대회
- TMS320F28xx
- V55
- SDFlash
- 마이크로 마우스
- VC33
- HH2
- H8
- PID
- TI
- 라인트레이서
- 속도 프로파일
- CCS
- DSP
- PADS2007
- 장어요리
- 시립대
- 단국대
- printf()
- ZETIN
- Koguryo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